본문 바로가기
아날로그 IC설계

Linux(리눅스) 사용법 - 2. VI Editor(sp file 작성)

by lifeis1 2023. 10. 9.

hspice로 simulation을 돌리려면 hspice input deck을 작성해야 하는데, sp 파일을 이용하여 작성합니다.

여기서 사용하는 게 VI Editor죠.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VI Editor에 대해서 설명하고, 다음 시간에 hspice input deck 작성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● VI Editor란?

Linux / Unix 계열의 OS에서 사용하는 편집기다.

사용 시, 반드시 대소문자 구분해야 함!

 

 

 

● MODE

- 입력 모드 : 원하는 글자를 입력하고, 화면은 입력한 상태를 그대로 보여주는 모드

- 명령 모드 : 명령을 사용하여 커서를 이동하거나 삭제/복사/검색 가능한 모드

- 실행 모드 : 주로 콜론( : )을 앞에 붙이고 사용하여 저장/편집/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모드

 

* 모든 모드에서 ESC 입력 시 명령 모드로 전환됩니다.

 

 


● VI Editor 실행 방법

$ vi [파일 이름]

 

ex) VI Editor를 이용하여 test.sp 파일을 열고자 한다면,

vi test.sp 작성

 

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. 현재는 명령모드 상태이므로 여기서 바로 원하는 글자를 입력할 수 없어요! 타자를 쳐도 입력이 안될 겁니다.

입력 모드로 들어가야 해요.

 

 

 

 


● 실행 모드

실행 모드는 콜론(:)을 이용해서 들어갈 수 있습니다.

입력키 내용
:q 그대로 종료
:q! 저장하지 않고 종료
:w 문서의 내용을 현재 파일에 저장
:wq 저장 후 종료
:wq! 저장 후 강제 종료
:w [파일명] [파일명]으로 현재 문서의 내용 저장
:se nu 화면에 줄 번호 표시
:se nonu 표시 된 줄 번호 삭제

근데 주로 :wq:q만 사용합니다. !는 강제 종료를 의미해요.

 

 

 


● 입력 모드

다음과 같은 입력키를 눌러야 입력모드로 들어갈 수 있어요.

입력키 내용
i 현재 커서 위치에서 text 삽입 시작
I 현재 커서가 있는 줄의 맨 앞에서 text 삽입 시작
a 현재 커서 위치의 다음 칸에서 text 삽입 시작
A 현재 커서가 있는 줄의 맨 뒤에서 text 삽입 시작
o 현재 커서의 다음 줄에서 text 삽입 시작
O 현재 커서의 이전 줄에서 text 삽입 시작

입력키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'끼워넣기'가 뜹니다. 그럼 이제 원하는 글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.

근데 저는 주로 i나 a만 사용하게 되더라구요.

 

 

 


● 명령 모드

입력 모드, 실행 모드에서 ESC key를 누르면 명령모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. 

명령 모드에서는 글자를 입력할 수 없어요. 저는 그래서 그냥 해당 경로에 들어가기 위해서만 사용합니다.

 

명령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들:

->이것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라 더보기로 올려놓겠습니다.

▶  커서 이동

더보기

h(←), j(↓), k(↑), l(→)    *사실 그냥 pg up/dn 버튼 사용하는 게 편합니다...

 

입력키 내용
gg 파일의 첫 줄로 커서 이동
G 파일의 맨 마지막 줄로 커서 이동
ngg N번째 줄로 커서 이동
w 단어 단위 이동
} 다음 문단의 시작으로 이동
{ 이전 문단의 시작으로 이동

▶삭제 및 복사

더보기
입력키 내용
yy 한 줄 전체 복사
nyy 현재 줄 이하로 n개 줄 복사
yw 한 단어 복사
p 저장된 내용 붙이기
dd 한 줄 전체 삭제
ndd 현재 줄 이하로 n개 줄 삭제
dw 한 단어 삭제

 

▶복구 및 찾기

더보기
입력키 내용
u 한번 복구(ctrl + z의 기능)
nu n 단계까지 복구
/abc 현재 위치에서 뒤로 abc 찾기
?abc 현재 위치에서 앞으로 abc 찾기
n or / 뒤로 단어 찾기 반복
N or ? 앞으로 단어 찾기 반복

 

gf

파일 경로에 커서를 대고 gf를 빠르게 입력하면 해당 파일로 이동 가능

 

ex) 다음과 같이 /home/models/SAED90nm.lib이라는 경로에 커서를 대고, gf을 빠르게 눌러주면

아래와 같이 해당 파일 속으로 이동합니다.(사실 이 기능을 제대로 써먹고 있지 못해서 더 공부해야 할 것 같아요..)

 

 

 

다음 포스팅은 sp file작성법, netlist input deck 작성법으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:)

 

반응형

 

반응형